728x90
반응형
생성자 주입을 선택해라!
불변
대부분의 의존관계 주입은 한번 일어나면 애플리케이션 종료시점까지 의존관계를 변경할 일이 없다.
오히려 대부분의 의존관계는 애플리케이션 종료 전까지 변하면 안된다.(불변해야 한다.)
수정자 주입 사용시, set 메서드를 public으로 열어두어야 해서 누군가 실수로 변경 가능성이 있다.
생성자 주입은 객체를 생성할 때 딱 1번만 호출되므로 이후에 호출되는 일이 없다. 따라서 불변하게 설계할 수 있다.
final 키워드
final을 넣게 되면 생성자에 혹시라도 값이 설정되지 않는 오류를 컴파일 시점에 막아 준다.
항상 생성자 주입을 선택해라! 그리고 가끔 옵션이 필요하면 수정자 주입을 선택해라. 필드 주입은 사용하지
않는게 좋다.
인프런 강의 "스프링 핵심 원리 - 기본편"을 정리한 것 입니다.
스프링 핵심 원리 - 기본편 - 인프런 | 강의
스프링 입문자가 예제를 만들어가면서 스프링의 핵심 원리를 이해하고, 스프링 기본기를 확실히 다질 수 있습니다., - 강의 소개 | 인프런...
www.inflearn.com
728x90
반응형
'스프링 Spring > 스프링 핵심 원리 - 기본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의존관계 자동 주입] 조회 빈이 2개 이상 - 문제 (0) | 2022.02.17 |
---|---|
[의존관계 자동 주입] 롬복과 최신 트렌드 (0) | 2022.02.16 |
[의존관계 자동 주입] 옵션 처리 (0) | 2022.02.14 |
[의존관계 자동 주입] 다양한 의존관계 주입 방법 (0) | 2022.02.13 |
[컴포넌트 스캔] 중복 등록과 충돌 (0) | 2022.02.1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