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싱글톤 방식의 주의점
여러 클라이언트가 하나의 같은 객체 인스턴스를 공유하기 때문에
싱글톤 객체는 상태를 유지(stateful)하게 설계하면 안된다.
무상태(stateless)로 설계해야 한다.
특정 클라이언트에 의존적인 필드가 있으면 안된다.
특정 클라이언트가 값을 변경할 수 있는 필드가 있으면 안된다.
가급적 읽기만 가능해야 한다.
필드 대싱에 자바에서 공유되지 않는, 지역변수, 파라미터, ThreadLocal 등을 사용해야 한다.
스프링 빈의 필드에 공유 값을 설정하면 정말 큰 장애가 발생할 수 있다.
인프런 강의 "스프링 핵심 원리 - 기본편"을 정리한 것 입니다.
스프링 핵심 원리 - 기본편 - 인프런 | 강의
스프링 입문자가 예제를 만들어가면서 스프링의 핵심 원리를 이해하고, 스프링 기본기를 확실히 다질 수 있습니다., - 강의 소개 | 인프런...
www.inflearn.com
728x90
반응형
'스프링 Spring > 스프링 핵심 원리 - 기본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싱글톤 컨테이너] @Configuration과 바이트코드 조작의 마법 (0) | 2022.02.08 |
---|---|
[싱글톤 컨테이너] @Configuration과 싱글톤 (0) | 2022.02.07 |
[싱글톤 컨테이너] 싱글톤 컨테이너 (0) | 2022.02.05 |
[싱글톤 컨테이너] 싱글톤 패턴 (0) | 2022.02.05 |
[싱글톤 컨테이너] 웹 애플리케이션과 싱글톤 (0) | 2022.02.05 |
댓글